출산휴가 기간, 급여 신청 방법, 계산기 알아보기

직장인이 재직 중에 출산을 하게 될 경우 출산휴가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휴가 기간 동안에는 일부 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럼 이 글에서는 출산휴가의 대상자, 기간, 급여 신청 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또한, 자신이 받을 수 있는 출산휴가 급여를 간단하게 계산할 수 있는 계산기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출산휴가 대상자, 기간

 

출산휴가는 여성 직장인이 출산을 한 경우 사용할 수 있는 휴가입니다. 법적으로는 출산전후 휴가라고 불립니다. 정규직, 계약직 여부와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산을 한 여성의 남성 배우자도 휴가를 신청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다음 글에서 설명하겠습니다.

 

여성의 출산휴가는 출산을 앞둔 기간 및 출산을 한 이후 기간 동안에 걸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총 휴가 기간은 90일인데, 다태아(2명 이상 동시 출산)를 낳은 경우 120일까지 휴가 기간이 늘어납니다.

 

출산 전후에 각각 휴가 기간을 배분할 때는 출산 이후의 기간이 45일 이상이 되도록 배정되어야 합니다(다태아는 60일 이상). 만약 출산 시기가 예정 보다 늦어져 출산 이후의 휴가 기간이 45일 보다 짧아질 경우 추가 휴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추가 휴가에 대해서는 회사에서 급여를 지급할 의무는 없습니다.

 




 

출산휴가 급여

 

출산휴가 기간 중 처음의 60일 동안은 유급 휴가입니다. 따라서 이 기간 동안은 통상 급여의 100%를 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 30일 동안은 최대 210만원을 국가에서 지원해줍니다. 다만 회사에 따라서는 마지막 30일에 대해서 통상 급여 100%를 받을 수 있도록 추가 급여를 지급하는 곳도 있습니다.

 

급여 지급액은 위와 같은데, 지급 방식은 중소기업, 대기업인지에 따라 아래와 같은 차이가 있습니다.

 

1. 중소기업 (우선 지원 대상 기업)

중소기업은 출산휴가 90일 기간 모두에 대해 정부로부터 매월 최대 210만원을 지원 받습니다. 이는 재정 여력이 상대적으로 많지 않은 점을 고려한 것입니다.

 

그리고 처음 60일 동안은 회사에서 통상 급여 100%에서 모자라는 차액을 직원에게 지급하게 됩니다. 마지막 30일은 회사에서는 지급 의무가 없습니다.

 

2. 대기업 (대규모 기업)

대기업은 출산휴가 중 처음 60일에 대해서는 정부 지원금이 없고, 마지막 30일에 대해서만 최대 210만원을 지원 받습니다. 따라서 처음 60일에 대해서는 회사로부터 통상 급여 100%를 받게 되고, 마지막 30일은 정부로부터 최대 210만원을 받게 됩니다.

 




 

출산휴가 급여 계산기, 신청 방법

 

고용 24 웹사이트에서는 출산휴가 계산기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해당 페이지에서는 받을 수 있는 급여를 간단하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아래 링크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연결됩니다.

 

https://www.work24.go.kr/cm/c/f/1200/selecSimulateCalc.do

 

정부로부터 지원 받는 출산휴가 급여는 당사자가 고용노동부에 신청해야 받을 수 있습니다. 신청 방법은 고용 24 웹사이트 혹은 고용보험 모바일 앱에서 가능합니다. 다만 회사에 따라서는 직원 대신 해주는 곳도 있습니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위 사이트 혹은 모바일 앱에 가서 ‘출산전후 휴가 급여 신청’ 메뉴를 찾아서 절차에 따라 신청하면 됩니다.

 

 

지금까지 출산휴가의 대상자, 기간, 급여 신청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출산휴가는 출산을 한 여성 직장인에게 지급되는 휴가입니다. 이 기간 동안에는 일부 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청 방법은 고용 24 웹사이트 혹은 고용보험 모바일 앱을 이용하면 됩니다. 이 글은 법제처 생활법령정보, 두산백과를 참고했습니다.

 

아래 링크는 숨은보험금조회 사이트에 대해 설명한 글입니다.

 

숨은보험금조회 사이트 알아보기